-
경제적자유를 누리는 파이어족(FIRE), 어떻게 되는걸까?카테고리 없음 2020. 8. 22. 01:07
저 또한 바라고 있는 것이 경제적독립과 FIRE족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최근들어서야 수입된 FIRE족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어떻게 하면 이룰 수 있을지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지금을 누리는 YOLO(욜로)족과 다르게 파이어족은 표현되는데 사실은 비슷한 맥락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간단히 용어를 알아보고 어떻게 하면 자산을 불려서 경제적자유를 달성할 수 있을지 계산해본 것을 확인해봅시다!
경제적자유, 파이어족이란?
최근들어 파이어족이라는 단어가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파이어족(FIRE)은 자주 쓰인지 얼마 되지 않은 따끈한 단어이기도합니다. 캥거루족이나 욜로족 등의 신조어와 비슷하게 스펠링 안에 의미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먼저 뜻부터 말씀드리자면 경제적으로 독립해서 빨리 은퇴하는 것입니다.
Financial Independant Retire Early(경제적독립과 빠른은퇴) 말 그대로 빠르게 돈을 모아서, 다 늙을때까지 안버티고 일찍 은퇴하자는 의미입니다.
사실 이 파이어족의 의미는 이미 1990년대에 등장한 용어입니다. 파이어족들은 은퇴나이인 60대까지 기다려봐야, 젊음을 누릴 수 있는 인생은 끝이 난다면서 빠른 독립을 위해 극한의 저축을 하는 라이프스타일을 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래서 버는 돈의 대부분은 저축하고, 투자를 통해서 그 돈을 불리고 빠른 은퇴를 목표했습니다.
왜 갑자기 파이어족이 떴을까요?
기성세대들이 많이 하는 말이 있습니다. 요즘 세대들은 회사에 애사심이 없고 일을 하려 하기 싫어한다고. 이 파이어족이 성행하게 된 것은 기성세대가 인식하고 있는 신세대의 일에 대한 태도가 아닐까합니다.
앞선 부모세대의 사람들이 열심히 업무에 열중하고 회사에 헌신하는 모습을 보았지만, 실제로 회사에서 받는 대우는 그만하지 못할때가 있었습니다. 헌신하면 헌신짝되는 모습을 보며 자식세대들은 자연스레 일에 대한 사랑은 점차 줄어갔을 겁니다.
이에 더해 삶을 대하는 태도가 바뀜에 있습니다. 항상 파이어족과 비교되는 욜로족도 언뜻보면 비슷한 면이 있습니다. 두 경우 놀고 싶고, 쉬고 싶고 자신의 삶을 온전히 누리기 위한 시도 중의 하나입니다. 다만 파이어족은 당장은 아니더라도 타이트하게 누릴 수 있는 시간을 앞당기려는 것이고, 욜로족은 지금 당장부터 인생을 즐기는 것입니다.
물론 파이어족이 맞고 욜로가 틀리다고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파이어족은 누릴 수 있는 젊은시기를 좀 희생해야할 거고, 욜로는 나중에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불확실성이 있겠지만, 인생에 답이 없듯이 각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보고 맞다 틀리다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FIRE족이 되기 위한 방법들
월급을 저축하는 것으로는?
가장 먼저 흔하고 비교적 쉬운 것이 저축입니다. 하지만 모두가 알듯이 억대연봉을 받지 않는다면 평생일해도 서울 변두리 집한채 사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미국에서 한창 파이어족이 성행할때는 너무 심하다고 생각되는 일화들도 많습니다. 자동차를 사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싼집, 싼음식 등 모든 일상에서 지출을 줄였었습니다.
심지어는 한겨울에 보일러를 아껴틀고, 한달에 식대를 10만원 미만으로, 저녁을 해결할 수 있다면 회사에서 야근을 불사하는 태도까지 보였습니다. 이러한 극단적인 저축생활은 초기에는 많이 모을 수 있겠지만 저축할 수 있는 비용은 한정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억대연봉처럼 연봉 자체가 크지 않다면 저축으로 FIRE족이 되기는 어렵습니다.
한국인기준으로 생각해봅시다. 편차가 너무나도 많겠지만 높게 잡아 월급이 세후 300이라고 가정해봅시다. 이 중에 지출을 극도로 최소화시켜서 월 20만원만 사용한다고 하면, 매월 280만원을 아낄 수 있고 1년이 모이게 되면 1년에 3,360만원을 저축할 수 있습니다. 이대로 10년을 하게되면 3억 3600만원을 저축할 수 있게 됩니다.
사회초년생부터 시작했을 경우 40에 가까워졌을 것이고 은퇴하기에는 터무니없는 자금입니다. (사실 부모님 집에 살거나 숙식비가 필요없는 기숙사에 사는 것처럼 환경들이 갖춰지지 않았다면 월 지출이 20만원은 매우 어려운데, 10년간의 이런 생활로 얻는 것이 3억이라면 그만한 효용이 있을까 싶습니다.)
투자로 자유로워질 수 있나?
그나마 저축보다 가능성이 있을만한 방법이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저축보다 공부해야 할 것이 많고 사람 특성상 투자에 적합하지 않은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어울리지 않을 사람도 있겠지만, 저축과 비교하기 위해 이역시 계산해봅시다. 여러 경우가 있겠지만 투자자본금이 5,000만원이라고 하고,매년 일정한 30%의 수익률을 낸다고 가정하겠습니다.
30%의 수익률을 계속 이어간다면, 1년 뒤면 65,000,000원 4년뒤엔 103,680,000원 그리고 10년 뒤엔 약 7억원에 달하는 금액이 됩니다. 수익률만 유지한다면 의외로 초기 자본금 5천만원이 시간이 갈수록 스노우볼이되어 10년뒤엔 7억이 되기에, 소득을 계속해서 추가자본을 투입해간다면 서울에 살만한 집한채정도는 40대에 살 수 있을 듯합니다.
물론 일반적인 사람들에게 처음에 5천만원이 모으는 것이 어렵기도 할거고, 워렌버핏도 어려워하는 수익률을 30%를 유지하는 것도 쉽지는 않습니다.